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Articl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Vol. 30, No. 3, pp.251-260
ISSN: 1598-7132 (Print) 2383-5346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Jun 2014
Received 18 Mar 2014 Revised 12 May 2014 Accepted 26 May 2014
DOI: https://doi.org/10.5572/KOSAE.2014.30.3.251

A Study on Estimation of Air Pollutants Emission from Wood Stove and Boiler, Wood-pellet Stove and Boiler

KimDong-Young ; HanYong-Hee* ; ChoiMin-Ae ; ParkSung-Kyu1) ; JangYoung-kee2)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KOFIRST R&D Center, KF E&E Co. Ltd 2)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uwon
화목난로∙보일러와 펠릿난로∙보일러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Correspondence to: *Tel : +82-(0)31-250-3230, Email : hiya03@gri.kr

Copyright © 2014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Biomass burning is one of the significant emission source of PM and CO, but a few studies are reported in Korea. Air pollutants emission from biomass burning such as wood stove and boiler, and wood-pellet stove and boiler were estimated in this study.

Activity levels related to biomass burning such as fuel types, amount of fuel loading, and location and temporal variation were investigated by field survey over Korea. Fuel loadings were 14.9 kg/day for wood stove, 31.3 kg/day for wood boiler, 12.8 kg/day for wood-pellet stove, 32.5 kg/day for wood-pellet boiler during the season of active use. These were mostly burned in winter season from october to april of next year.

Estimated annual emissions from wood stove & boiler were CO 76,677, NOx 710, SOx 70, VOC 20,941, TSP 6,605, PM10 2,921, Pm2.5 1,851, and NH3 7 ton/yr, respectively. Emissions from wood-pellet stove and boiler were CO 32,798, NOx 1,830, SOx 25, VOCs 5,673, TSP 629, PM10 457, Pm2.5 344, and NH3 2 ton/yr, respectively. When the emission estimates are compared with total emissions of the national emission inventory (CAPS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Those occupy 12.5%, 2.8% of total national emission for CO and PM10,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wood and wood-pellet burning appliances were one of the major source of air pollution in Korea. In future, these types of heaters need to be regulated to reduce air pollution, especially in suburb area.

Keywords:

Biomass burning, Wood stove, Wood boiler, Wood-pellet stove, Wood-pellet boiler, Air pollutants emission

1. 서 론

생물성연소 (biomass burning)는 인위적이든 자연적이든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생체 (biomass) 연소를 포괄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그렇지만 산불이나 농경지에서의 농업잔재물 연소 등 식생(vegetation)의 연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전 지구적으로 약 90% 정도의 생물성연소가 인간의 활동이 직접적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NASA Langley Research Center, 2001).

우리 일상생활 주변에서 대기오염을 가중시키는 중요한 생물성연소로는 농업잔재물이나 생활폐기물의 노천소각, 나무 등을 연료로 쓰는 아궁이나 화목난로, 고기구이, 숯가마에서의 숯 굽기 등이 있다. 국내의 여러 선행연구에서도 생물성연소에 의한 먼지 배출량 기여도가 상당할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Lee et al., 2009a, b; Oh et al., 2009; Hwang et al., 2008). 이들 연구는 대부분 직접적인 조사와 분석보다는 외국의 배출계수를 사용한 추정연구에 머무른 한계가 있다.

생물성연소시 발생하는 매연은 건강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2.5 μm 이하의 입자인 초미세먼지가 많다. 먼지는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대기 중 체류시간이 길어지고 이동거리도 늘어나 영향권이 매우 넓어지는 특성이 있다. 최근 환경부에서 수행한 Pm2.5 관련 연구에 의하면 지금까지 사업장, 자동차, 비산먼지 등에 대한 연구와 관리는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생물성연소에 의한 배출원 관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NIER, 2009).

겨울철 난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 중 장작, 농업잔재물 그리고 생활폐기물 등을 연료로 쓰는 아궁이나 화목난로가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대부분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불완전연소가 수반되면서 대기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되고, 다이옥신, 휘발성 유기물질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생활 주변 가까운 곳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위해를 끼치게 된다(Kim, 2011).

현재 우리나라는 대기오염물질 중 PM10에 대한 배출자료의 불확실성이 아직 높은 편이고, Pm2.5에 대한 배출자료는 아직 작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NIER, 2009).

본 연구에서는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는 주로 장작을 연료로 사용하고,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는 목재를 가공하여 균질하게 만든 펠릿을 연료로 사용한다. 활동도를 파악하기 위해 마을단위 설문 및 심층면담 조사를 직접 실시하여 소각량과 소각행태 등을 상세하게 조사하였다. 또 배출량 산정결과는 2010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 (CAPSS)와 비교하여, 생물성연소 부문 배출량이 차지하는 기여도를 알아보았다.


2. 연구 방법

2. 1 배출량 산정방법

생물성연소 부문 중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전기나 기름 연료 대신 장작이나 펠릿연료를 이용하여 난방용으로 사용한다. 가정용 이외에 비닐하우스나 화훼농원, 카페나 영업점에서도 난방을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국내에는 활동도 조사 방법이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미국 환경청에서 제시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미국 환경청은 화목난로에 사용된 연료사용량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료사용량을 직접 조사하는 방법 (Preferred Method)과 국가 에너지 통계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Alternative Method)을 제시하고 있다 (U.S. EPA, 2001). 직접 조사 방법은 실제 소각 현장을 방문하여 사용자와 1 : 1 심층면담 조사를 통해 활동도에 대한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국가 에너지 통계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은 국가 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목난로와 아궁이 사용의 지역적인 특성과 계절에 따라 연료 사용량과 사용 빈도 등 우리나라 실정을 반영할 수 있도록 직접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음 식은 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활동도, 연료사용량 조사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FL (ton/yr)=AH×r×FLd×D

FL : 읍, 면 단위 연간 연료사용량(ton/yr)

AH : 농업가구수

r : 난로 보유비율

FLd : 1일 연료사용량(ton/day)

D : 연간 사용일수(day/yr)

가정용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은 직접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사용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농업가구수, 난로∙보일러 마을 보유비율, 1대당 평균 연료 사용량과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의 곱으로 다음 식과 같이 산출하였다.

Emission=(AH×r×FLd×D)×EF

Emission : 배출량(ton/yr)

AH : 농업가구수

r : 난로∙보일러 보유비율(%)

FLd : 1일 연료사용량(ton/day)

D : 연간 사용일수(day/yr)

EF :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g/kg)

2. 2 활동도 조사

일반적으로 도시가스, 석유 등을 난방연료로 사용하는 도시지역보다는 농업지역에서 장작 또는 농업 잔재물 등을 난방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의 사용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도시지역은 제외하고 농업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조사 방법은 먼저 전국을 총 6개 권역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제주권)으로 구분하였다. 총 가구 대비 농업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연소형태, 연소량, 연소시간 등 활동도에 대한 설문 및 면담조사를 읍면동 단위로 수행하였다. 표 1은 통계청의 2010년 각 권역별 마을의 수, 농업가구의 비율을 활용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Characteristics of survey region for the collection of data on emission activities.

조사 대상 마을의 선정은 지역적인 편차를 줄이기 위해 각 권역별로 총 가구 대비 농업가구 비율이 높은 시∙군을 대상으로, 100개 이상 마을에 걸쳐 1,000개 이상의 설문조사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대상 집단을 정규분포로 가정하면 1,000개의 표본을 조사했을 때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가 된다(KSRC, 2008).

마을단위, 가구단위로 조사원이 직접 방문하여 심층면담 조사를 수행하였고, 또한 마을마다 그 지역의 특성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지역대표(이장)를 대상으로 전화 설문도 병행하였다. 전국 총 38개 시군, 88개 읍면동, 253개 부락을 방문하여 전체 1,008개의 설문을 수행하였다. 또한 마을마다 그 지역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 이장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을 실시하였다. 권역별 마을 방문 비율과 조사 현황을 표 2, 그림 1에 나타내었다.

Statics of participants to the survey of emission activities.

Fig. 1.

Location of field survey on activity level.

실제 설문조사를 위해 방문한 마을은 253개였으며, 방문 빈도가 가장 높은 권역은 충청권으로 29.2%였다. 현장 방문 결과 설문 대상 지역 설계 시 면단위 이하의 도시에서 떨어진 농업가구에서 주로 난로와 보일러를 사용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그러나 도심지역에서도 카페나 화훼농원에서 난로와 보일러 사용이 다수 목격되었기 때문에 수도권 교외지역도 설문 대상 지역에 포함하였다.

주요 설문 내용은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과 배출원별 활동도 조사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일반사항은 설문 응답자의 거주 지역, 종사 업종, 가족 구성원, 조사 날짜, 성별, 나이 등을 조사하였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에 대해 공통으로 난로와 보일러 보유대수와 크기, 연료 종류, 사용 횟수, 사용 시간, 사용 장소, 1일 연료량, 사용 시기, 마을단위 사용 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1대당 1일 평균 연료사용량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화목난로의 1일 평균 연료 사용량은 14.9 kg/day였다. 화목보일러의 1일 평균 연료 사용량은 31.3 kg/day였다.

Descriptive statistics of fuel loadings for Woodstove and boiler. (Unit: kg/day∙capita)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1대당 연간 평균 연료사용량은 월별로 사용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1일 평균 연료사용량을 1월 기준이라고 가정하였고, 월별 사용비율과 각 달의 일수를 적용하여 연간 연료사용량을 산출하였다. 화목난로의 1대당 연간 평균 연료사용량은 2,144.2 kg/yr이며, 화목보일러의 1대당 연간 평균 연료사용량은 4,341.5 kg/yr이다. 다른 연구에 의하면 화목난로 1대당 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한 연구 결과 (Kim et al., 2010)는 연간 약 3.2 ton/yr이고, 본 연구 결과보다 높게 나타나 다소 차이를 보였다. 연료사용량의 차이는 연료사용량과 난로 사용대수 추정방법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연료사용량과 난로 사용대수 추정방법은 직접 조사 방법으로 설문을 통해 얻은 결과의 통계 분석치이며, Kim et al. (2010)의 연구는 간접 조사 방법인 에너지통계자료를 사용하여 연료사용량을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다르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월별 사용 현황 조사 결과, 난로와 보일러 사용 패턴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농업지역에서 난방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계절적인 패턴은 초가을이 시작되는 10월부터 그 다음 년도 초봄인 4월까지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우리나라 계절상 가장 추운 시기인 12월, 1월, 2월의 연료 사용량이 가장 많았다. 표 4에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연중 연료사용량 변화를 나타내었다.

Monthly variation of fuel loading by wood-stove and boiler.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보유 현황을 추정하기 위해 국가 통계지표인 농업총조사보고서의 “지역별 읍면동 단위 농업가구 현황” (Statistics Korea, 2013)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을 통해 조사한 마을단위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사용비율 결과를 지역별 농업가구 현황에 적용하여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보유 현황을 추정한 결과, 전국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사용 대수는 각각 126,830대와 45,447대 규모였다. 지역별 사용 대수 추정결과는 표 5와 같다.

Estimated number of wood-stove and boiler by region. (Unit: number)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의 활동도 조사 결과 토대로 1대당 1일 평균 연료사용량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펠릿난로의 1일 평균 연료 사용량은 12.8 kg/day였고, 펠릿보일러의 1대당 1일 평균 연료사용량은 32.5 kg/day였다. 표 6에는 관련 통계값을 나타내었다.

Descriptive statistics of fuel loadings for woodpellet stove and wood-pellet boiler. (Unit: kg/day∙number)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의 1대당 연간 평균 연료사용량은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의 1일 평균 연료사용량을 1월 사용 기준으로 가정하고, 월별 사용비율과 각 달의 일수를 적용하여 연간 평균 연료사용량을 산출하였다. 펠릿난로 1대당 연간 평균 연료사용량은 1,831.5 kg/yr였으며, 펠릿보일러 1대당 연간 평균 연료사용량은 4,505.6 kg/yr였다. 표 7은 월별 연료사용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이다.

Monthly variation of fuel loadings by wood-pellet stove and wood-pellet boiler.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의 월별 사용 패턴은 화목난로, 화목보일러와 아주 유사하게 나타났다. 농업지역에서 난방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계절적인 패턴은 초가을이 시작되는 10월부터 그다음 해 초봄인 4월까지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우리나라 계절상 가장 추운 12월, 1월, 2월 연료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펠릿난로의 사용 대수 추정은 연간 펠릿 사용량을 이용하여 전국 펠릿난로 사용 대수를 추정하였다. 펠릿난로 사용 대수를 지역마다 배분하기 위해 “지역별 목재펠릿 보급 비율” (Statistics Korea, 2010)을 적용하였다. 펠릿보일러의 사용 대수는 목재펠릿 통계자료 중 펠릿보일러 보급현황 자료(Korea Forest Service, 2013)를 사용하였다.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의 사용 대수를 추정한 결과 전국 펠릿난로 사용 대수는 46,734대이며, 펠릿보일러 사용 대수는 11,130대로 나타났다. 표 8에 지역별 추정결과를 나타내었다.

Estimated number of wood-pellet stove and wood-pellet boiler by region. (Unit: number)


3.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을 위해 기존 연구결과인 화목난로와 보일러 (Park, 2013a), 펠릿난로와 보일러 (Park, 2013b)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를 사용하였다.

배출계수는 모형챔버를 제작하여 연소실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이다. 실험 대상인 모형 장치 (화목난로, 화목보일러, 펠릿난로, 펠릿보일러)는 시장 조사를 통해 선정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형태를 가진 상품들 중 많이 사용하는 평형대별 기종과 대표적인 모형을 사용하였다. 표 9는 장치 종류별 대표적인 규격과 보급 비율이다.

The scale of market sales of wood-stove and boiler, and wood-pellet stove and boiler.

배출계수 개발 항목은 입자상 오염물질 TSP, PM10, Pm2.5와 가스상 오염물질 CO, NOx, SOx, VOC, NH3이다. 표 10은 실험결과로 본 연구에 적용된 배출계수이다.

Emission factors by source category. (Unit: g/kg)


4.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2010년을 기준으로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출 결과 연간 CO 76,677, NOx 710, SOx 70, VOC 20,941, TSP 6,605, PM10 2,921, Pm2.5 1,851, NH3 7 ton으로 산출되었다. PM10 배출량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 (468 ton/yr), 경기 (393 ton/yr), 전남 (377 ton/yr) 순서로 배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연간 CO 32,798, NOx 1,830, SOx 25, VOC 5,673, TSP 629, PM10 457, Pm2.5 344, NH3 2 ton으로 산출되었다. PM10 배출량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남(98 ton/yr), 충북(93 ton/yr), 경북(53 ton/yr) 순서로 배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표 12는 지역별 배출량을 나타내었으며, 그림 2는 보다 상세하게 시∙군∙구별로 나타내었다.

Estimated emissions of air pollutants from wood-stove and wood-boiler. (Unit: ton/yr)

Estimated emissions of air pollutants from wood-pellet stove and boiler. (Unit: ton/yr)

Fig. 2.

Distribution of PM10 emission by source types. (a) wood-stove and wood-boiler, (b) wood-pellet stove and wood-pellet boiler.

2010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CAPSS)와 본 연구에서 산정한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는 표 13과 같다. 2010년 CAPSS의 CO 배출량은 총 766,269 ton인데,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배출량은 76,677 ton으로 8.8%에 해당되며,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의 배출량은 32,798 ton/yr으로 3.7%에 해당되어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CAPSS의 NOx 배출량은 1,061,210 ton이며, 본 연구의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배출량은 710 ton으로 0.1%에 해당되고,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의 배출량은 1,830톤으로 0.2%에 해당되어 그 비중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CAPSS의 SOx 배출량은 401,742 ton이며, 본 연구의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배출량은 70 ton으로 0.02%에 해당되고,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의 배출량은 25 ton으로 0.01%에 해당되어 그 비중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CAPSS의 PM10 배출량은 116,808 ton이며, 본 연구의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의 배출량은 2,921 ton으로 2.4%에 해당하며,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배출량은 457 ton으로 0.4%에 해당되었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에 의한 PM10 배출 기여도는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CAPSS의 VOC 배출량이 866,358 ton이며, 본 연구의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배출량은 20,941 ton으로 2.3%에 해당되며,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배출량은 5,673 ton으로 0.6%에 해당되었다.

Comparison of CAPSS data with emission estimates of this study.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생물성연소 부문 중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배출량 산정방법을 정립하고, 배출원별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여 단위활동도 도출을 위해 지역마다 심층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대표성 있는 연소장치를 파악한 후 실제 현장의 모습을 모사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를 개발하였다. 이를 토대로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부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CAPSS 배출량 산정 시스템과 같은 방법으로 시군구 단위의 통계지표를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또한 2010년 CAPSS 배출량 자료와 비교를 통해 생물성연소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알아보았다.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출 결과 CO 76,677, NOx 710, SOx 70, VOC 20,941, TSP 6,605, PM10 2,921, Pm2.5 1,851, NH3 7 ton/yr으로 산출되었다. PM10은 지역별로 경북 (468 ton/yr), 경기 (393 ton/yr), 전남 (377 ton/yr) 순서로 배출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출 결과 CO 32,798, NOx 1,830, SOx 25, VOC 5,673, TSP 629, PM10 457, Pm2.5 344, NH3 2 ton/yr이었다. PM10은 지역별로 전남(98 ton/yr), 충북(93 ton/yr), 경북(53 ton/yr) 순서로 배출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국가배출목록자료 (CAPSS) 배출량과 본 연구에서 산정한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 CO는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가 8.8%,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가 3.7%를 차지하였으며 PM10은 화목난로와 화목보일러가 2.4%, 펠릿난로와 펠릿보일러가 0.4%에 각각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CO, PM10 관리에서 이들 배출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환경부의 2011년 차세대 에코이노베이션 기술개발사업(411-113-011)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 CARB, Emission Inventory Methodology-San Joaquin Valley Unified Air Pollution Control District : Agricultural Burning, (2005).
  • Hwang, I.J., Y.H. Cho, W.G. Choi, H.M. Lee, T.O. Kim, Quantitative estimation of PM-10 source contribution in Gumi city by the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8), 24(1), p100-1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572/KOSAE.2008.24.1.100]
  • Kim, D.Y., Analysis of Air Pollutants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1).
  • Kim, P.S., Y.K. Jang, J. Kim, Y.I. Shin, J.S. Kim, J.Y. An, A study on estimation of air pollutants emission from residential wood stov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omospheric Environment, (2010), 26(3), p276-2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572/KOSAE.2010.26.3.276]
  • Korea Forest Service, Statistic of wood-pellet, (2013).
  • Korea Social Research Center, Excel Statistical Analysis, (2008).
  • Lee, H.W., T.J. Lee, D.S. Kim, Identifying ambient PM2.5 sources and estimating their contributions by using PMF: Separation of gasoline and diesel automobile sources by analyzing ECs and O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9a), 25(1), p75-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572/KOSAE.2009.25.1.075]
  • Lee, T.J., J.B. Huh, S.M. Yi, S.D. Kim, D.S. Kim, Estimation of PM10 source contributions on three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by using PMF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9b), 25(4), p275-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572/KOSAE.2009.25.4.275]
  • NASA Langley Research Center, Biomass burning: A hot issue in global change, FS-2001-02-56-LaRC, (2001).
  •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CAPS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2010).
  •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mission and contribution rate for PM2.5, (2009).
  • Oh, M.S., T.J. Lee, D.S. Kim, Source identification of ambient size-by-size particulate using the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model on the border of yongin and suw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9), 25(2), p108-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572/KOSAE.2009.25.2.108]
  • Park, S.K., S.J. Choi, G.J. Ryu, Y.S. Hong, D.Y. Kim, Y.K. Jang, Development of Emission Factors on Black Carbon from Wood-stove and boiler, Proceeding of the 2nd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3a), p308.
  • Park, S.K., S.J. Choi, G.J. Ryu, K.J. Park, D.Y. Kim, Y.K. Jang, Development of Emission Factors on Black Carbon from Wood-pellet stove and boiler, Proceeding of the 2nd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3b), p309.
  • Statistics Korea, Agricultural Census Report, (2013).
  • Statistics Korea, Statistic of wood-pellet, (2013).
  • U.S. EPA, TTN EMC Method 5G-PM Wood Heaters from a Dilution Tunnel, (2007).
  • U.S. EPA, Emission Inventory Improvement Program Volume III : Chapter 2-Residential wood combustion, (2001).

Fig. 1.

Fig. 1.
Location of field survey on activity level.

Fig. 2.

Fig. 2.
Distribution of PM10 emission by source types. (a) wood-stove and wood-boiler, (b) wood-pellet stove and wood-pellet boiler.

Table 1.

Characteristics of survey region for the collection of data on emission activities.

Region Number of
cities and
counties
Number
of
village
Agricultural/
Total households
(%)
Capital 79 1,104 5.1
Gangwon 18 188 12.9
Chungcheong 35 442 35.8
Youngnam 75 1,066 37.2
Honam 42 629 43.9
Jeju 2 43 20.1
Total 251 3,472 6.7

Table 2.

Statics of participants to the survey of emission activities.

Region Village Survey
Number Ratio (%) Number Ratio (%)
Capital 34 13.4 317 31.4
Gangwon 38 15.0 315 31.3
Chungcheong 74 29.2 146 14.5
Youngnam 58 22.9 115 11.4
Honam 42 16.6 92 9.1
Jeju 7 2.8 23 2.3
Total 253 100 1,008 100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of fuel loadings for Woodstove and boiler. (Unit: kg/day∙capita)

Classification Wood-stove Wood-boiler
Average 14.9 31.3
Standard deviation 8.7 11.4
Variance 75.5 129.2
Minimum value 4.0 8.5
Maximum value 50.0 50.0

Table 4.

Monthly variation of fuel loading by wood-stove and boiler.

Month Wood-stove Wood-boiler
Ratio
(%)
Fuel
consumption
(kg/yr)
Ratio
(%)
Fuel
consumption
(kg/yr)
Jan 21.0 462.8 21.8 970.8
Feb 19.5 386.7 19.1 769.2
Mar 13.6 298.6 13.1 582.1
Apr 2.6 56.4 6.1 263.7
May 1.2 25.6 0.7 31.7
Jun 0.3 7.2 0.0 0.3
Jul 0.1 2.5 0.0 0.3
Aug 0.5 10.1 0.0 0.3
Sep 1.5 32.9 0.1 3.1
Oct 6.7 147.9 6.7 300.2
Nov 13.6 290.3 11.4 492.9
Dec 19.3 423.4 20.8 926.9
Total 100 2,144.2 100 4,341.5

Table 5.

Estimated number of wood-stove and boiler by region. (Unit: number)

Region Wood-stove Wood-boiler Region Wood-stove Wood-boiler
Seoul 563 202 Gangwon 7,947 2,848
Busan 1,034 370 Chungbuk 8,759 3,138
Daegu 2,085 747 Chungnam 16,328 5,851
Incheon 1,563 560 Jeonbuk 11,495 4,119
Gwangju 1,573 564 Jeonnam 16,391 5,873
Daejeon 1,143 410 Gyeongbuk 20,341 7,289
Ulsan 1,411 506 Gyeongnam 14,389 5,156
Gyeonggi 17,066 6,115 Jeju 4,743 1,699
Total 126,830 45,447

Table 6.

Descriptive statistics of fuel loadings for woodpellet stove and wood-pellet boiler. (Unit: kg/day∙number)

Wood-pellet stove Wood-pellet boiler
Average 12.8 32.5
Standard deviation 6.7 3.5
Variance 44.9 12.5
Minimum value 4.0 30.0
Maximum value 20.0 35.0

Table 7.

Monthly variation of fuel loadings by wood-pellet stove and wood-pellet boiler.

Month Wood-pellet stove Wood-pellet boiler
Ratio
(%)
Fuel
consumption
(kg/yr)
Ratio
(%)
Fuel
consumption
(kg/yr)
Jan 16.2 395.3 21.8 1,007.5
Feb 16.2 330.3 19.1 798.3
Mar 12.3 255.0 13.1 604.1
Apr 6.0 48.1 6.1 273.7
May 3.8 21.8 0.7 32.9
Jun 1.0 6.1 0.0 0.3
Jul 0.3 2.1 0.0 0.3
Aug 0.8 8.6 0.0 0.3
Sep 3.9 28.1 0.1 3.2
Oct 9.5 126.3 6.7 311.5
Nov 13.6 248.0 11.4 511.5
Dec 16.2 361.7 20.8 961.9
Total 100 1,831.5 100 4,505.6

Table 8.

Estimated number of wood-pellet stove and wood-pellet boiler by region. (Unit: number)

Region Wood-pellet stove Wood-pellet boiler Region Wood-pellet stove Wood-pellet boiler
Seoul 8 0 Gangwon 5,745 805
Busan 119 5 Chungbuk 6,176 2,259
Daegu 5 20 Chungnam 5,404 1,292
Incheon 1,071 271 Jeonbuk 2,974 1,061
Gwangju 0 0 Jeonnam 9,071 2,388
Daejeon 93 4 Gyeongbuk 5,576 1,296
Ulsan 7 30 Gyeongnam 3,897 819
Gyeonggi 6,317 836 Jeju 271 44
Total 46,734 11,130

Table 9.

The scale of market sales of wood-stove and boiler, and wood-pellet stove and boiler.

Types Sales numbers (number) Heating area (m2) Sales percentage (%) Representative product
Wood-stove 100,600 <60 10.3
60~100 57.4
100~135 23.2
>135 9.1
Wood-pellet stove 20,000 <60 30.0
60~100 45.0
100~135 17.0
>135 8.0
Wood-boiler 12,000 <60 7.1
60~100 39.4
100~135 31.5
>135 22.0
Wood-pellet boiler 14,000 <60 12.0
60~100 28.6
100~135 42.9
>135 14.3

Table 10.

Emission factors by source category. (Unit: g/kg)

Source CO NOx SOx VOC TSP PM10 Pm2.5 NH3
Wood-stove 175.5 1.6 0.2 48.0 15.4 6.5 4.2 0.0
Wood-boiler 146.7 1.4 0.2 40.0 12.2 5.8 3.6 0.0
Wood-pellet stove 119.2 14.4 0.2 37.7 4.6 3.3 2.5 0.0
Wood-pellet boiler 450.7 11.9 0.2 48.8 4.7 3.4 2.6 0.0

Table 11.

Estimated emissions of air pollutants from wood-stove and wood-boiler. (Unit: ton/yr)

Region CO NOx SOx VOC TSP PM10 Pm2.5 NH3
Seoul 341 3 0 93 29 13 8 0
Busan 625 6 1 171 54 24 15 0
Daegu 1,261 12 1 344 109 48 30 0
Incheon 945 9 1 258 81 36 23 0
Gwangju 951 9 1 260 82 36 23 0
Daejeon 691 6 1 189 60 26 17 0
Ulsan 853 8 1 233 74 33 21 0
Gyeonggi 10,317 96 10 2,818 889 393 249 1
Gangwon 4,805 45 4 1,312 414 183 116 0
Chungbuk 5,295 49 5 1,446 456 202 128 1
Chungnam 9,871 91 9 2,696 850 376 238 1
Jeonbuk 6,950 64 6 1,898 599 265 168 1
Jeonnam 9,909 92 9 2,706 854 377 239 1
Gyeongbuk 12,297 114 11 3,358 1,059 468 297 1
Gyeongnam 8,699 81 8 2,376 749 331 210 1
Jeju 2,867 27 3 783 247 109 69 0
Total 76,677 710 70 20,941 6,605 2,921 1,851 7

Table 12.

Estimated emissions of air pollutants from wood-pellet stove and boiler. (Unit: ton/yr)

Region CO NOx SOx VOC TSP PM10 Pm2.5 NH3
Seoul 0 0 0 0 0 0 0 0
Busan 15 1 0 3 0 0 0 0
Daegu 59 3 0 10 1 1 1 0
Incheon 799 45 1 138 15 11 8 0
Gwangju 0 0 0 0 0 0 0 0
Daejeon 12 1 0 2 0 0 0 0
Ulsan 88 5 0 15 2 1 1 0
Gyeonggi 2,465 138 2 426 47 34 26 0
Gangwon 2,373 132 2 411 46 33 25 0
Chungbuk 6,648 371 5 1,150 128 93 70 0
Chungnam 3,806 212 3 658 73 53 40 0
Jeonbuk 3,128 175 2 541 60 44 33 0
Jeonnam 7,040 393 5 1,218 135 98 74 0
Gyeongbuk 3,821 213 3 661 73 53 40 0
Gyeongnam 2,415 135 2 418 46 34 25 0
Jeju 130 7 0 22 3 2 1 0
Total 32,798 1,830 25 5,673 629 457 344 2

Table 13.

Comparison of CAPSS data with emission estimates of this study.

Source CO NOx SOx PM10 VOC
ton/yr (%)
CAPSS 766,269 (87.5) 1,061,210 (99.7) 401,742 (99.97) 116,808 (97.2) 866,358 (97.1)
Wood-stove & boiler 76,677 (8.8) 710 (0.1) 70 (0.02) 2,921 (2.4) 20,941 (2.3)
Wood-pellet stove & boiler 32,798 (3.7) 1,830 (0.2) 25 (0.01) 457 (0.4) 5,673 (0.6)
Total 875,744 (100) 1,063,750 (100) 401,837 (100) 120,185 (100) 892,972 (100)